Surprise Me!

[그래픽뉴스] 국토위성

2021-03-19 7 Dailymotion

[그래픽뉴스] 국토위성<br /><br />국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정밀 지상관측용 차세대 중형 위성 1호가 우리 시간으로 내일 오후 3시 7분, 카자흐스탄의 바이코누르 우주센터에서 발사 예정입니다.<br /><br />2015년부터 예산 1,579억 원이 투입된 이 국토위성은 앞으로 4년간 운용됩니다.<br /><br />오늘의 그래픽 뉴스, 입니다.<br /><br />인공위성은 로켓을 사용해 대기권 밖으로 쏘아 올려져 지구 둘레의 타원 궤도를 위성처럼 도는 인공의 물체를 가리킵니다.<br /><br />인공위성은 용도에 따라 통신·방송·기상·해양 관측 등의 용도로 이용되는 '실용위성'과 특수한 과학 관측이나 연구용인 '과학위성', 첩보 등의 용도로 쓰이는 '군사위성' 등으로 분류됩니다.<br /><br />올해 1월 기준으로 한국이 보유한 인공위성은 17대입니다.<br /><br />1,878대를 보유한 미국에 비하면 1%도 안 되는 수준이며, 중국, 러시아, 영국, 일본 등 우주 강국 10대 국가와 비교할 때 역시 미미한 수준에 그칩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는 1980년대 말부터 우주개발 계획을 수립해 역사가 짧은 편에 속합니다.<br /><br />선진국에 비해 30~40년 늦게 시작한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25번째 인공위성 보유국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의 대표적 인공위성을 살펴보면 1992년 발사한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, 1995년 발사한 첫 방송통신위성인 무궁화1호, 그리고 2003년 우주관측 위성인 과학기술위성 1호 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2013년, 과학기술위성 2호를 지구 저궤도에 올려놓는 임무를 수행한 한국 최초의 위성발사체, 나로호가 있습니다.<br /><br />내일 발사 예정인 국토위성은 중량 540kg에 가로 1.4m, 세로 1.55m, 높이 2.89m로 지구 정밀관측 용도로 운영됩니다.<br /><br />흑백 0.5m급, 컬러 2m급 해상도로 사물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국토위성은 발사 후 고도 497.8㎞의 궤도에서 약 3개월 이상의 초기운영 과정을 거치는데요.<br /><br />그 뒤 6월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정밀지상 관측영상을 국토부에 제공하게 됩니다.<br /><br />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토교통부는 국토위성이 촬영한 영상을 통해 지상관측과 농작물 작황조사, 도시계획수립, 지도 제작과 같은 국토 자원관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태풍이나 홍수, 산불 관측과 같은 재해재난 대응과 독자적 위성 영상자료를 확보해 국가공간정보 서비스 활성화에도 쓸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토위성은 발사 102분 후 노르웨이 스발바드 지상국과 최초로 교신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를 통해 국토위성이 정상적으로 임무궤도에 안착했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되는데요.<br /><br />앞으로 우리나라 구석구석을 매일 지켜보게 될 국토위성 1호기는 매일 오전 11시 한반도를 지나면서 임무를 수행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그래픽 뉴스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